제조업에서의 일반적인 기획 -> 개발 -> 양산과정의 제품생산 용어
모든 제품 생산이 아래의 과정을 따르진 않음.
기획 -> P/T -> E/S -> T/P -> P/P -> M/P -> QC
1. 제품 발의 및 기획
상품기획 부서의 주관하에 아이디어 제안, 시장조사, 고객요구 발생에서 부터 상품기획서 작성 및 승인까지 일련의 업무로서 제품개발 및 개발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또한 상품기획 부서에서 작성된 상품구상서를 바탕으로 디자인팀이 주관하여 상품의 형상, 재질 및 색상 등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Identity를 연구 개발하며 디자인 기획, Idea Sketch, Rendering, 디자인 Mock-up 등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 프로젝트의 실제 이미지를 구체화시키고 이를 통해 실제 개발방향을 검토하고 결정
2. P/T (Proto Type)
제품 Layout 및 설계 기준서 작성. 설계 검증서 작성. 원가, 개발일정, 완제품 외관, 조립성, 신뢰성, 금형 검토 결과가 나와야 함
(주관부서 : 연구개발)
3. E/S (Engineering Sample)
연구개발 부서가 주관하여 개발계획서를 기본으로 구상설계(설계도면)의 실현 여부 및 제품개발의 검증을 위해 양산용 부품과 금형을 이용한 기구물로 E/S Sample을 제작하고, 제품 기능, 성능, 안정성, 신뢰성, 기구 등을 검토 및 평가하여 제품 가치의 실현 가능성을 최종적으로 확인하고 생산관련 사항을 검토하는 단계
(주관부서 : 연구개발)
4. T/P (Test Production)
E/S 품평회 등 결과에 의거, 설계목표 달성에 대해 관련부서로부터 검토, 확인 및 양산용 설비 및 공정설계를 확인. P/P를 위한 제반사항 준비하는 단계
(주관부서 : 생산기술 및 연구개발)
5. P/P (Pre-Production)
T/P 결과에 의거, 개발제품의 설계, 제조상의 문제점 및 제조 설비, 공정 등의 적합성을 확인하여 M/P를 위한 제반 사항을 준비 하고 최종 점검을 하는 단계
(주관부서 : 생산)
6. M/P (Mass-Production)
P/P 수행 결과를 근거로 양산을 위한 제반사항에 대한 진부를 완료하고, 생산 관리부서의 생산지시에 의해 필요 자원을 투입하고 생산, 판매를 위한 최종 점검.
(주관부서 : 생산)
7. QC (Quality Control)
양산된 제품은 QA/QC 부서에 의해 최종 품질 검사 후 출고 여부가 결정. 품질 특성에 따라 보완 후 전체 Rework 또는 불량품은 제외하고 양품만 출고. 불량품이 발생하기 않기 위한 조치 등을 받고 정도에 따라 기획부터 다시 검토될 수 있음.
(주관부서 : QA/QC 부서)
'제조 회사 개발 proc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C(EMI + EMS) (0) | 2025.03.20 |
---|---|
제품 신뢰성 테스트 및 인증 (0) | 2025.03.20 |
제품 개발에서 Hardware & Firmware Engineer의 업무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