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품 개발시 사무실 환경은 전원도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주변에 노이즈원도 없다.
하지만 실제로 의료기기나 산업용 장비가 온도, 습도, 노이즈, 진동에 노출 되었을때도 안정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당연히 기준 이하의 노이즈를 발생 시켜야 한다.
제품의 운송시 엄청난 온도와 습도, 진동(낙하)에 노출 되어도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각종 신뢰성 테스트를 거쳐 기대 수명을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목표로 하는 기대 수명을 산출
↓
부품 단위 신뢰성 테스트
↓
완제품 신뢰성 테스트
위 과정은 제품 개발 과정과 병행하여 진행 된다.
아래는 완제품 신뢰성 테스트 항목이며 모든 회사가 아래와 같이 테스트 하지 않는다.
구분
|
시험 분류
|
시험항목
|
완제품
|
외관
|
외관
|
기능
|
기능
|
|
성능
|
성능
|
|
전기안전성
|
누설전류
|
|
내전압
|
||
접지저항
|
||
전원입력
|
||
환경시험
|
사용(온습도)
|
|
보관(온습도)
|
||
운송
|
||
EMC시험
|
Voltage Dip
|
|
Harmonic
|
||
Voltage Variation
|
||
ESD(정전기)
|
||
Impulse Line
|
||
Impulse Radiation
|
||
Impulse Coupling
|
||
전원 ON/OFF
|
온도 싸이클 연속 전원 ON/OFF
|
|
온도 싸이클 방전 전원 ON/OFF
|
||
발열 수준 평가
|
중요부품 발열 측정
|
이와 더불어 국내에서 유통되는 전자기기는 모두 인증을 받아야 한다.
국내는 KC, 유럽은 CE, 미국은 UL, 중국은 CCC로 국가마다 다르며, 국가마다 장비 분류도 다르므로 제품 기획시 수출 여부도 정해야 한다.
예를들어, 국내에서 산업용 기기로 개발 하였으나, 수출 국가에서 의료기기로 쓰여 의료기기 인증이 필요할 경우 처음부터 새로 개발해야 할수 있다.
'제조 회사 개발 proce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EMC(EMI + EMS) (0) | 2025.03.20 |
---|---|
제품 개발에서 Hardware & Firmware Engineer의 업무 (0) | 2025.03.20 |
제조업의 제품 생산 과정 (0) | 2025.03.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