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조 회사 개발 process 4

EMC(EMI + EMS)

1. EMC(Electromagnetic Compatibility, 전자파 적합성, 전자파 양립성)전자파 적합, 양립성이라 해석되며 '전자파를 주고 측과 받는 측의 양쪽에 적용하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기기의 능력'으로 법규상 정의이 용어는 EMI와 EMS를 모두 포함하는 포괄적인 용어로서 어떤 기기가 동작 중에 발생하는 전자파를 최소한으로 하여 타기기에 간섭을 최소화해야 하며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각종의 전자파에 대해서도 충분히 영향을 받지 않고 견딜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함 2. EMI(Electromagnetic Interference, 전자파 장해, 전자파 간섭)전자파 간섭 또는 전자파장애로 해석되며 법규에 의하여 “방사 또는 전도되는 전자파가 다른 기기의 기능에 장애를 주는 것"이라 정의. ..

제품 신뢰성 테스트 및 인증

제품 개발시 사무실 환경은 전원도 안정적으로 공급되고, 주변에 노이즈원도 없다. 하지만 실제로 의료기기나 산업용 장비가 온도, 습도, 노이즈, 진동에 노출 되었을때도 안정적으로 동작해야 한다. 당연히 기준 이하의 노이즈를 발생 시켜야 한다. 제품의 운송시 엄청난 온도와 습도, 진동(낙하)에 노출 되어도 정상적으로 동작해야 하므로 각종 신뢰성 테스트를 거쳐 기대 수명을 충족할 수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목표로 하는 기대 수명을 산출↓부품 단위 신뢰성 테스트↓완제품 신뢰성 테스트 위 과정은 제품 개발 과정과 병행하여 진행 된다. 아래는 완제품 신뢰성 테스트 항목이며 모든 회사가 아래와 같이 테스트 하지 않는다.  구분시험 분류시험항목완제품외관외관기능기능성능성능전기안전성누설전류내전압접지저항전원입력환경시험사용(온..

제품 개발에서 Hardware & Firmware Engineer의 업무

제품 개발에서 Hardware & Firmware Engineer의 업무   제품 개발 과정은 각 회사마다 세부내용은 다르겠지만 큰 뼈대는 같다. 제품발의/기획 부터 개발계획수립, P/T, E/S, P/P, 양산에 이르는 프로세스 각 단계마다 필요한 과정이 있다.  이중에서 Harware & Firmware Engineer의 초기 개발 업무에 대해 설명해본다. 초기 개발이라고 말한 이유는 P/T, E/S등 여러단계에 걸친 개발 단계가 있지만, 제품 기능이 P/T 단계에서 이미 모두 구현 되어야 하기 때문이다.(모든 회사가 그렇지는 않음) no.구분세부 내용참고1제품 Layout 작성- 내부부품 구성도- 외장부품 기능, 위치- LCD 화면 Layout- 개발 단가 확인하여 제품 설계2회로 설계- 전자 회로..

제조업의 제품 생산 과정

제조업에서의 일반적인 기획 -> 개발 -> 양산과정의 제품생산 용어모든 제품 생산이 아래의 과정을 따르진 않음.기획 -> P/T -> E/S -> T/P -> P/P -> M/P -> QC 1. 제품 발의 및 기획상품기획 부서의 주관하에 아이디어 제안, 시장조사, 고객요구 발생에서 부터 상품기획서 작성 및 승인까지 일련의 업무로서 제품개발 및 개발방향을 결정하는 단계. 또한 상품기획 부서에서 작성된 상품구상서를 바탕으로 디자인팀이 주관하여 상품의 형상, 재질 및 색상 등 상품가치를 높이기 위한 Identity를 연구 개발하며 디자인 기획, Idea Sketch, Rendering, 디자인 Mock-up 등 일련의 프로세스를 통해 개발 프로젝트의 실제 이미지를 구체화시키고 이를 통해 실제 개발방향을 검토하..